메인콘텐츠 바로가기

건강한 사회를 이끌어가는 식품 및 영양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
  • Home
  • 학과소개
  • 교육과정

2025학년도 교육과정
학년 학기 이수
구분
영역 교과목 명 학점/시수 학기 이수
구분
영역 교과목 명 학점/시수
1 1 교양 글로컬
마인드
English/Japanese/Chinese for World Citizenship1(택1) 2/3 2 교양 글로컬
마인드
English/Japanese/Chinese for World Citizenship2(택1)(교필) 2/3
의사소통
능력
대학글쓰기(2/3)/
스피치토론(2/2)
(택1)2 의사소통
능력
대학글쓰기(2/3)/
스피치토론(2/2)
(택1)2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창의적비판적사고/
수리적사고(2/2)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창의적비판적사고/
수리적사고(2/2)
도덕성 및 인성 자아발견과 비전탐색1(sol-sup) 1/1 도덕성 및 인성 자아발견과 비전탐색2(학과 자체 운영) 1/1
분석적 과학적 사고력 SW 교양 3/3 분석적 과학적 사고력 SW 교양 3/3
자유선택 2/2
전공 기초 식품재료학개론 3/3 전공 중점 식품학(영양사자격증)◎ 3/3
공중보건학 3/3 기초 기초위생학 2/2
기초화학 3/3 영양과 건강 2/2
여름 전공 중점 생물과학입문
(영양사자격증)
3/3 겨울 -
2 1 교양 글로컬
마인드
English/Japanese/Chinese for World Citizenship3(택1) 2/3 2 교양 글로컬
마인드
English/Japanese/Chinese for World Citizenship4(택1) 2/3
자유선택 3/3 자유선택 2/2
트랙 핵심전공 식품화학◇ 3/3 트랙 트랙 트랙/MD 교과목 3/3
핵심전공 식생활관리◇ 3/3
전공 중점 영양학
(영양사자격증)◎
3/3 전공 중점 식품위생학
(영양사자격증)◎
2/2
인체생리학
(영양사자격증)
3/3 핵심 한국조리 3/3
핵심 조리원리 및 실습◎ 3/3 심화 영양병리학 2/2
3 1 교양 자유선택 5/5 2 교양 자유선택 2/2
트랙 트랙 트랙/MD 교과목 3/3 트랙 트랙 트랙/MD 교과목 3/3
심화전공 생애주기영양학◎◇ 3/3
전공 중점 영양생화학
(영양사자격증)
3/3 전공 중점 단체급식관리 및 실습(영양사자격증)◎ 3/3
심화 임상영양학 3/3 중점 고급영양학
(영양사자격증)
3/3
실험조리 3/3 심화 식사요법 및 실습◎ 3/3
교직 영양교육론★ 3/3 교직 영양교재연구 및 지도법★ 3/3
4 1 자유 선택 자유선택(교양 및 기타전공) 5/5 2 자유 선택 자유선택(교양 및 기타전공) 5/5
전공 핵심 영양사 현장실습 2/2 전공 핵심 식품가공 및 저장학 2/2
심화 영양교육 및
상담 실습◎
3/3 심화 질병과 식사요법 2/2
영양판정 및 실습◎ 3/3 식생활과 문화 2/2
식품위생관계법규 2/2 지역사회영양학 3/3
급식경영학 2/2 식품미생물학 및 실험 3/3
교직 논리 및 논술★ 3/3
합계: 38과목/103학점(전공 32과목/85학점<중점 8과목/23학점, 기초 5과목/13학점, 핵심 6과목/15학점, 심화 13과목/34학점>,
트랙 3과목/9학점, 교직 3과목/9학점)

-‘ ★’: 교직이수 교과교육과목
-‘◎’: 교직이수 전공과목
-‘◇’: 융합부전공 전공 지정 과목

외식조리영양학과 교과목소개

교과목소개
과목명(영문명) 교과목 개요 비고
영양병리학
(Nutrition Pathology)
기본적인 질병의 정의와 확립된 질병 발생이론을 기본으로 인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질환과 영양과의 관계에 관하여 이해한다 .
한국조리
(Basic Cuisine of Korean Food)
우리나라전통의식재료와음식에대하여이해하고제대로조리하는방법에대해실습으로익힌다.
식품위생학(영양사자격증)(Food sanitation or Dietitian Certification) 우리의 식생활은 무엇보다도 건강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영양도 중요하지만 안전성 또한 그에 못지않다. 따라서 현대에는 식품공해에 관하여 많은 연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유해성분은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에 그 유해성분이 어떻게 발생되는지 어떻게 예방하고 유해성분으로 인해 질병이 유발했을 경우 어떤 방법으로 처치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이론을 통해 인지시키고 실생활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교육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식생활관리
(Dietary Management)
식생활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과학적이고 계획적인 조리 방법과 식단계획을 이행하는 법을 실습을 통해 교육한다.
조리영양학
(Culinary Nutrition)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식품으로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의 종류와 체내기능, 필요량, 급원식품 및 과잉, 부족 시 나타나는 건강문제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균형잡힌 식생활의 중요성을 깨닫고 조리이론의 바탕이 되는 영양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영양생화학(영양사자격증)(Nutrition Biochemistry for Dietitian Certification) 식품 중에 함유된 영양소에 대한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인체에서 일어나는 영양소의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와 호르몬에 대해 이해하고 각 영양소의 대사기전에 대해 알아본다.
임상영양학
(Pathological Nutrition)
각 질환의 병리, 원인, 분류, 증상 및 질병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이와 관련한 건강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영양치료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실험조리
(Experimental Cookery)
조리 과정의 과학적인 변화를 직접 실험으로 연구하여 식품의 특성과 조리 과정중의 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원리를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이해한다.
영양교육론
(Nutrition Education)
교육자의인성 함양,학습 대상 학생들을 위한 효율적인학습지도를위해 다양한 소주제를 통해 영양교육의필요성과영양교육 컨텐츠를 교육하는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기능성식이소재학
(Functional Ingredients in Food)
식품은 고령화 사회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각종 만성 질환에서 발병 원인의 1/3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건강 유지와 질병 예방을 위해 적절한 개인의 기능성 식품의 선택은 중요하다. 또한 기능성 식품이 선도하는 고부가 식품산업은 우리나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선정(Biohealth)되어 관련 지식과 경험의 학습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를 학습하고자 한다.
고급영양학(영양사자격증)(Advanced Nutrition for Dietitian Certification) 인체는 생명유지와 건강을 위하여 외부로부터 식품을 섭취하여야 한다.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소에 대한 이해와 그 영양소 섭취량과 활동과의 관계, 질적 양적인 문제, 영양소의 과부족 문제 등을 공부하고자 한다.
단체급식관리 및 실습(영양사자격증)(Food Service in Institution for Dietitian Certification) 다량 취사를 위한 영양관리, 식품관리, 식단 작성, 적업관리, 시설설비관리, 위생관리, 사무관리, 인사관리 등과 영양사의 역할 등에 대하여 강의하고 실습을 통하여 실제로 계획하고 기구의 취급법 등을 습득한다.
식사요법 및 실습
(Diet Therapy and Practices)
각종 질병상태에 있어서의 영양 원리를 이해하는 이론적인 면과 질병에 대한 적절한 영양관리를 할 수 있는 실천적인 면을 중심으로 신속한 건강 회복과 건강 증진을 위한 각종 특수 치료 식이를 계획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영양교재연구 및 지도법
(Study of Teaching Materials for Nutrition)
각학과별전공별교육에다루는기본개념과교육의구조,목표,교재의선정,교재연구,학습지도,평가등중등교사로서담당할교과지도에필요한실제적인지식과기술을체계적으로학습한다.
생애주기영양학
(Nutrition in Life Span)
임신기, 수유기, 유아기, 성장기, 사춘기, 성인기, 노인기 등 인간의 각 발달단계 및 운동선수 등 특수한 생리적 조건에 관련하여 특별히 요구되고 강조되는 여러 가지 영양문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식품품질관리
(Food Quality Management)
식품의 품질관리의 목적을 인식하고 품질관리 분야에 관련된 이론을 정립하며 그 이론의 적용을 위한 기법의 개발 및 사용 방법을 교육한다. 이에 따라 영양성, 기호성, 위생성을 적절히 갖춘 제조가공 방법에 관한 각종 품질관련 사례를 예시하여 품질관리 지침이 되도록 교육한다.
영양교육 및 상담 실습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Practices
영양교육의 개념, 영양사의 기능, 일반인과 특수대상인에 대한 영양지도, 영양조사법 등을 교육하여 영양사로서의 실무능력을 기르며 현장에서의 생활지도와 상담능력을 실습한다.
영양판정 및 실습
(Nutrition of Assessment)
영양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임상적, 생화학적 실험을 통해 영양판정법을 습득하도록 하고, 관련 이론 및 문제점에 관하여 연구한다.
논리와 논술
(Logic & discuss)
논술교육에서 중요한 항목인 논리의 구축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해 자세하게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비판적 사고와 논술의 관계, 논리와 논증, 수사적 설득의 문제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식품위생관계법규
(Food Hygiene Law)
식품의 근간이 되는 식품위생법은 식품산업 종사자들이 알아야할 기초 법규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외식산업업계 종사 시 필요한 현장실무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급식경영학
(Business Management of Food Service)
단체급식 관리에 있어서 경영관리, 사무관리, 작업관리, 재무관리, 인사관리 등 급식경영을 위한 다양한 관리의 연관관계를 이해하며 근무자들의 협력을 통해 급식경영의 과학화를 위한 관리방법을 교육하고 능력을 습득하게 한다.
영양사현장실습
(Practice in Institution)
영양사 업무에 필요한 기초이론을 토대로 복지시설, 보육시설, 병원, 학교 및 산업체 등 의 현장에서 실무를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식생활과 문화
(Life and Culture for Food)
식품의 수확에서 소화 흡수까지의 과정에 대한 것을 기본으로 지역별, 계절별 특성에 따른 식생활과 식습관에 따른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목표를 둔다.
질병과 식사요법
(Diet Therapy for Chronic Disease)
만성 질병에 대한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신속한 건강회복을 위해 필요한 적절한 식사요법에 대해 알아본다.
식품가공 및 저장학
(Food Processing and Storage)
식품과 관련된 기초과학, 식품저장, 곡류, 서류, 두류, 과채류, 유지, 우유, 육제품, 계란, 수산물, 주류, 기초식품, 조미료 등의 식품 가공에 관련된 전반적인 가공에 관한 내용을 교육한다.
지역사회영양학
(Community Nutrition)
지역사회 구성원 모두의 영양개선 및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영양역학, 지역사회 영양요구 판정, 영양위험진단의 선별, 공중보건, 지역사회의 영양프로그램계획 및 평가 등에 초점을 두어 강의함으로써 주어진 지역사회에서의 영양문제를 판정하고 적절한 영양서비스 방법을 개발하고 시행함으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
식품미생물학 및 실험
(Food Microbiology and Experiment)
실습을 통해 미생물의 일반취급 기술 (배지제조, 무균조작법)을 습득하게 하여 식품의 변패와 오염에 관여되는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며, 유용 산물을 생산하는 발효미생물 이용의 기초실험을 교육한다.
CDR체계
CDR 교육목표 융합/
연계
전공
관련 교과 심화 교과 자격증 취업/창업분야
식품기술자 식품기술과 관련하여 습득된 응용 능력과 실무능력을 활용하여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창의성과 협업 능력 배양
  • 식품조리과학
    융합부전공
  • 기초화학
  • 기초생화학실험
  • 식품생화학
  • 식품가공
  • 식품저장
  • 식품분석실험
  • 식품가공실험
  • 식품안전관리
  • 식품생산관리
  • 식품효소학
  • 발효식품학
  • 식품바이오창의적
    종합설계
  • 식품바이오응용설계
  • 식품기사
  • 품질관리기사
  • 주조사
  • 식품공학연구원
  • 품질관리사무원
  • 식품공학기술자
  • 조향사
위생관리자 위생관리에 기반이 되는 기초화학 및 위생관련 지식과 창의적이고 실무적인 능력 배양
  • 식품조리과학
    융합부전공
  • 식품위생
  • 식품미생물학실험
  • 식품위생관리실습
  • 식품미생물학개론
  • 식품첨가물학
  • 빅데이터와
    식품관능평가
  • 식품위생법규
  • 식품품질관리
  • 공중보건학
  • 위생사
  • 공무원(식품위생직)
  • 위생사
  • 보건연구사
영양사 식품영양 및 대사에 관련된 교과목을 이수하여 응용 교육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식품조리과학
    융합부전공
  • 식품화학
  • 영양학
  • 인체생리학
  • 식품위생학
  • 영양생화학
  • 고급영양학
  • 식품위생관계법규
  • 영양교육론
  • 영양교재연구 및 지도법
  • 논리 및 논술
  • 영양교육 및 상담실습
  • 영양판정 및 실습
  • 영양사현장실습
  • 영양사
  • 영양교사
  • 단체급식 영양사
  • 보건소 및 산업체 영양사
  • 외식업체 영양사
  • 영양교사
식생활지도사 식품산업 단체 급식 및 개인 식습관에 대하여 지도 교육할 수 있는 능력배양
  • 식품조리과학
    융합부전공
  • 식품화학
  • 영양학
  • 생애주기영양학
  • 식생활과 문화
  • 식생활관리
  • 영양과 건강
  • 영양판정 및 실습
  • 식품미생물학 및 실험
  • 영양교육론
  • 식생활지도사
  • 식생활지도사
  • 친환경제품(식품)인증원
  • 외식컨설턴트
메뉴개발자 메뉴개발에 필요한 조리방법과 관련된 교과목과 식생활과 질병 예방 관련 식사요법을 활용 능력배양
  • 식품조리과학
    융합부전공
  • 조리원리 및 실습
  • 한국조리
  • 실험조리
  • 식품재료학개론
  • 단체급식 및 실습
  • 식사요법 및 실습
  • 식품품질관리
  • 기능성식이소재학
  • 식품위생학
  • 영양사
  • 조리사
  • 식품개발
  • 음식매뉴개발자
  • 요리강사
  • 단체급식조리사
  • 푸드스타일리스트